[STATA] 파일 디렉토리 지정 - pwd, dir, cd STATA의 기본 작업 디렉토리는 c:\data이고, 현재 working directory를 확인하는 command는 다음과 같습니다.. pwd 따라서 파일을 불러들일 때 다음과 같이 매번 path를 지정해야 합니다. 이때 use command는 기본적으로 .dta,확장자,즉 dataset 파일을 인식합니다.) . use c:\intropov\data\hh 한편, 동일 디렉토리 내에서 반복해서 데이터를 불러들이거나 저장을 할 때, 작업 폴더를 한번 설정해놓으면 이후에 전체 경로를 지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cd c:\intropov\datause hh 또한, 작업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서도 따로 path를 지정할 필요가 없게됩니다. . save hh, replace 자신이 지정한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들.. 더보기 [STATA] local command를 이용해 파일 디렉토리 지정하기 나중에 파일 directory 구조를 바꾸거나 전체 파일들을 새로운 폴더로 옮겼을 때에서 do file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STATA file들을 어떻게 정리할 것이냐. dataset은 "D:\project dir\data\data3\somedata.dta"에log file은 "D:\project dir\analysis\analysis1\analysis1X.log"에do-file은 "D:\project dir\analysis\analysis1\datado.do"에 위치한다고 합시다. 나중에 "project dir\old version\data\..."로 파일 버전들을 정리하고 싶을 때, 각각의 파일에 모두 들어가서 파일 directory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손쉽게 오류를 피하고 싶다면 어떻게 할.. 더보기 [STATA] 관측치에 대해 고유값 부여 - gen number=_n, _n, _N STATA에서 "_n"은 "underscore variable"이라 불리며, 현재 관측값의 순서를 뜻합니다. 따라서 각각의 관측치에 대해 개별적으로 고유한 값을 부여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따라서 gen number=_n 는 dataset에서 관측치의 순서에 해당하는 값(1~N값까지)을 부여합니다. 한편, _N은 전체 관측값의 갯수를 나타냅니다. 다음의 예시를 통해 그 차이를 볼 수 있습니다. input score group72 184 276 189 382 290 185 1 라는 dataset에 대하여generate id = _ngenerate nt = _N list 를 실행시키면 score group id nt 1. 72 1 1 7 2. 84 2 2 7 3. 76 1 3 7 4. 89 3 4 7 5... 더보기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