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영어회화] Not half bad 오랜만의 포스팅입니다. 한동안 일때문에 정신이 없었어요. 지금은 일이 더 많아졌지만 하루를 평소보다 일찍 시작하는 것으로 모자른 시간을 보충하려 합니다. 오늘부터 영어단어/구문과 불어단어/구문 하나씩을 포스팅하려구요. STATA도 계속 업데이트하겠지만 너무 많은 command를 한번에 다루다보니 좀 정신이 없어졌어요. 그럼 오늘의 영어회화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not half bad생각보다 나쁘지 않은It's not as bad as one might have thought.Something that is pretty good or that is relatively acceptable, especially if you had low expectations for it in the first place.. 더보기
Data Reconciliation - 데이터 분석에 앞서 해야 할 작업 Data reconciliation is a technique that targets at correcting measurement errors that are due to measurement noise, i.e. random errors. From a statistical point of view the main assumption is that no systematic errors exist in the set of measurements, since they may bias the reconciliation results and reduce the robustness of the reconciliation. Definition and overview of Data ReconciliationData.. 더보기
데이터의 분포를 어떻게 보여줄까 - Histogram vs. Boxplot Boxplot Boxplot은 outlier를 제거하고 사분위수를 이용하여 가운데 50% 의 데이터를 통해 그래프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중앙값을 비롯한 각 사분위수의 범위,최대값, 최소값을 알 수 있습니다. HistogramHistogram은 전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측정값이 존재하는 범위를 몇 개의 구간(급)으로 나눈 경우,각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총 갯수를 보여준다. 상대도수를 모두 합하면 1이 된다. 각 막대 간에는 간격이 없으며, 많은 경우 값들은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처럼 보인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범위, 데이터가 집중된 곳이나 대칭성 등을 알 수 있다. 단, 데이터 자체의 측정값들은 그래프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출처: http://www.jmp.com/support/help/Options_.. 더보기